연금저축 상품 종류는 크게 연금보험저축과 연금저축펀드가 있다. 연금저축보험은 생명보험사에서 운영하는 상품인데 모든 상품에는 장단점이 있기 마련이다. 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험적으로 연금저촉 보험은 추천하지 않는다.
개인 연금저축보험의 단점
연금저축보험은 공시이율에 따라 매월 납입하는 연금저촉보험료 금액에 대해 일정 수익이 발생한다. 단순하게 본다면 매달 정기 적금을 드는 개념과 같다.
다만 세금 혜택이 있고 연금 개시 시점에 종신형 연금을 수령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종신형 연금 수령이 아니어도 10년 20년 이렇게 수령 기간을 정할 수 있다.
보통 생명 보험사에서 연금보험저축을 가입하면 세제 혜택이 있다고 말한다. 틀린 말은 아닌데 연금저축펀드 역시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솔직히 세금 공제가 된다고 하더라도, 그 공제 금액만큼 내가 알아서 따로 돈을 빼지 않는 이상... 그냥 솔직히 보이지도 않는 돈과 같다. 따로 공제받은 만큼 투자를 해야 의미가 있지...
그리고 연금저축보험에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그것은 바로 '사업지 차감'이다. 보험사도 돈을 벌어야 하니 당연히 수수료를 받아야 하겠지만 그것이 생각 이상으로 크다는 것이다. 그리고 가장 큰 문제는 개인이 그것에 대해 미리 잘 인지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지금은 만기 납입이 끝나서 연금저축펀드로 옮긴 상태인데 과거 미래에셋생명에 가입했던 연금저축보험 수익률 보고서를 찾아보니 매달 25만 원씩 118개월 납입했는데 수익률은 8.26%에 불과했다. 너무 낮지 않나?
네이버 적금 계산기로 3% 이자만 적용해도 3360만원, 13%의 수익이 나온다. 그것도 세후 금액으로 말이다.
놀랍게도 2950만원을 납입할 때까지 발생한 수수료가 1,809,300원이었다. 매월 25만 원씩 납입을 해도 무려 6% 수준의 수수료를 차감하고 공시 이율로 투자가 되니 당연히 수익이 낮을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공시이율도 딱히 높지도 않고...저것도 금리가 낮아지면 더 낮아질 수 있다. 물론 상품마다 최저보증이율이라는 게 있기는 한데 어차피 워낙 낮아서... 의미가 있을까?
결국 중요한건 제대로 알고 가입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지만 세액 공제 효과 얼마... 이런 건 내가 그만큼 연말정산 때 돈을 따로 빼지 않는다면 그냥 어디론가 사라진 돈에 불과하다. 그리고 어차피 연금저축펀드를 가입해도 세액 공제가 된다. 그러니 사업비 차감과 함께 보험사 배만 불려주는 연금저축보험이 과연 좋은 상품인가.... 고민할 필요가 있다.
물론 무조건 단점만 볼 건 아니다. 예를 들어서 내가 주식에 대해 전혀 알지 못하는데 연금저축펀드 가입 후 주식 투자로 돈을 날리는 것보다 예적금 성격인 연금저축보험이 더 나을 수 있다.
게다가 안정적으로 연금 수령을 할 수 있으니 자금 관리면에서는 수월할 수 있다. 하지만 워낙 실제 수익률이 낮아서...젊은 나이 20대나 30대 초반에 사회초년생이 연금보험저축을 가입한다고 하면... 뜯어말리고 싶다는 생각.
그리고 연금저축펀드 종목 중에서도 예금처럼 금리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종목이 있다. 연간 3.5% 정도의 수익이 나는 채권형 ETF인데 큰 리스크도 없고, 언제라도 매도 후 주식 ETF 투자를 할 수 있으니 훨씬 낫다는 생각이다. 필요에 따라서 연금보험저축도 하나의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지만 사업비 차감 내역과 실제 투자 수익률을 잘 점검해서 접근해야 나중에 후회하지 않는다.
'돈 벌고 싶다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시백 신용카드 추천 롯데 런던 생활비 카드 (0) | 2025.03.09 |
---|---|
금 투자 방법 (가장 안전한 방법, 골드바, 금 시세) (0) | 2024.12.29 |
증권사 추천 주식거래 수수료 무료 환전 수수료 무료 (0) | 2024.12.22 |
국내 월배당 ETF 매수로 노후 준비하기 (0) | 2024.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