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 값이 말 그대로 금 값이 되었다. 이제는 돌잔치에 정말로 금반지 하나 못 사다 줄 지경이 아닐까? 항상 이렇게 금 투자에 관심을 가질 때면 역시나 최고점 부근이 되어 있다.
내가 사면 하락? 그래도 또 발을 담구어 보자. 금 투자 가장 안전한 방법, 금 시세 차익을 얻는 방법부터 결론을 내린다면 KRX 금 거래소 주식 앱을 이용한 거래 방식이 가장 좋다.
금 투자 가장 안전한 방법 추천 KRX 금 현물 거래
골드바 실물 사진인데 37.5g 10돈이다. 저거 내가 산 제품은 아니고 며칠 전 아는 사람이 뜬금없이 사서 사진을 보내 준 건데... 며칠 지나서 시세 차이가 살짝 날 수는 있겠지만 골드바 10돈 37.5g 기준 가격으로 480만 원에 매입을 했단다.
참고로 이런 골드바 실물 투자의 단점은 부가세다. 부가세가 붙으면 결국 10%를 더 내야 하기 때문에 자치잘못 손실을 볼 수가 있다. 여담인데 부가세 빼고 현금 매입가로 480만원에 샀다고 한다.
그런데 사실 이렇게 급하게 골드바를 투자하는 사람들은 매도 가격을 생각하지 않는다. 본인이 480만원 주고 골드바 매입했으면 금 시세가 유지되면 동일하게 480만 원에 팔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절대 그렇지 않다. 당연히 가게 주인도 마진이 있어야 하는데...
내가 당일 날 지인이 구매한 가게에 골드바 금 매도 가격을 물어보니 450만 원이라고 하더라.
즉 당일 사서 당일 팔아도 30만 원 손해이다. 기준 금 가격대비 매수 매도 가격 차이가 꽤 큰 셈이다. 위 사진은 한국 금거래소 (업체)의 금 매매 시세 차이 가격표이다.
그리고 금 골드바도 브랜드가 있는데...사실 저 브랜드는 잘 모르겠더라. 금 브랜드 추천을 한다면 현재 구하기 힘든 LS MNM이 가장 좋고 그 외 한국금거래소 골드바와 한국 조폐공사 골드바가 있다. 뭐 브랜드 무관하게 99.99% 순도의 포나인 골드바면 다 같기야 하겠지만..
*LS는 과거 LG 그룹이 LG, LS, GS로 쪼개지면서 나온 그룹인데 LS MNM은 포스코와 같은 제련소이다. 다만 포스코와 다르게 비철금속 분야인 전기동 (전선 구리)을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고 그 외 금, 은, 백금, 팔라듐 같은 희귀 금속을 생산하는 업체이다.
금 투자 방법
실물 골드바 금 투자 방법은 부가세와 사고 팔 때 금 시세 차이만큼 결국 비용이 발생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금 현물 투자를 할 수 있을까?
ETF? 은행 금 거래 계좌? 가장 좋은 방법은 KRX 금 현물 시장에서 직접 거래하는 것이다. (나도 이번에 찾아 보면서 알게 됨)
KRX 금 현물 시장에서 거래를 하면 주식처럼 실시간 금 매입 매도를 할 수 있고 부가세 없음, 양도소득세 없음. 즉 세금이 없다. 게다가 금은방에서 금 사고팔 때처럼 가격 차이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다.
KRX 금 현물 시장에서 거래하는 방법은 계좌 개설 가능한 증권사에서 금 현물 거래 계좌를 개설하면 끝이다. 대부분 일반 은행 증권사처럼 비대면 개설이 가능하다.
- KB증권㈜
- NH투자증권㈜
- SK증권㈜
- 대신증권㈜
- 미래에셋증권㈜
- 삼성증권㈜
- 신한투자증권㈜
- 유안타증권㈜
- 유진투자선물㈜
- 키움증권㈜
- 하나증권㈜
- 한국투자증권㈜
- 현대차증권㈜
대부분 대형 증권사에서 거래가 가능한데 수수료는 0.2~0.3% 수준이다. 거래 금액에서 해당 수수료만큼 차감되는데 금액이 수억을 넘지 않는다면 그냥 평소 사용하던 증권사를 이용하거나 아니면 하나증권이 가장 저렴하니 그곳에서 계좌를 개설하는 것도 좋을 거 같다. (의외로 키움이 비쌈)
나는 과거 만들어 두기만 했던 삼성증권이 있어서 추가로 금 현물 거래 계좌를 개설했다. MTS 모바일 증권 화면에 저렇게 금 거래 메뉴가 보이는데 주식과 동일하게 거래를 할 수 있다.
특이한 점은 골드바 100g 미니바와 1kg 두 가지 종목이 있다는 점인데, 금 시세 자체는 동일하다.
하지만 사진에 보이는 괴리율은 조금 차이가 있다. 이 괴리율은 실제 국제 금 거래가격 대비 얼마나 차이가 나느냐를 보여준다. 예를 들어 오늘 국제 금 거래 가격이 1만원인데 괴리율이 10%라면 현재 국내 KRX 금 거래 매입 가격이 10% 더 높은 1.1만 원이라는 것이다.
이거는 실시간으로 거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요가 늘면 당연히 국제 금 값 보다 높을 수 밖에 없다. 아무래도 금 가격 급등 시기에 이런 괴리율 차이가 더 클 텐데, 100g이 1kg 보다 더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나는 괴리율이 적은 1kg 골드바 종목을 매입했다.
*KRX 금 거래는 나중에 필요하다면 실물 인출이 가능하다. 그래서 실물 인출을 고려한다면 100g을 선택하는 게 나을 수 있다. (1kg는 너무 비싸니.)
다만 실물을 인출할 경우 운송비가 발생하고 부가세를 납부해야 한다. 아마 대부분 금 시세 차익 목적으로 투자를 할 테니 실물 인출할 일은 없을 거 같고... 그렇다면 괴리율이 낮은 종목을 선택하는 것이 낫지 않을까? 다시 말하지만 금 시세 자체는 동일하다. 호구 매수 매도 창에서 부르는 가격이 조금 다를 뿐.
결국 3g 매입했다. 하필 제일 높을 때여서..국제 금 거래 가격은 LBMA의 금 현물 가격에 환율이 적용된다. 따라서 환율이 높으면 금 값도 오른다. 반대로 환율이 낮아진다면 금 가격도 낮아지겠지. 지금이 최고점 상태여서 또 밑으로 내려갈 거 같지만... 항상 그렇더라. 시장에 발 담그고 조금씩 모아간다면 언젠가 한 번의 기회가 온다는 것.
*내가 사면 무조건 떨어짐..ㅋㅋ
'돈 벌고 싶다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시백 신용카드 추천 롯데 런던 생활비 카드 (0) | 2025.03.09 |
---|---|
연금보험 연금저축보험 추천? 비추천? (0) | 2024.12.29 |
증권사 추천 주식거래 수수료 무료 환전 수수료 무료 (0) | 2024.12.22 |
국내 월배당 ETF 매수로 노후 준비하기 (0) | 2024.12.22 |